혹시 고혈압 약 복용 중이신가요? 부작용, 당뇨와 신장(콩팥)에 미치는 영향 꼼꼼 분석
안녕하세요, 여러분! 오늘은 많은 분들이 꾸준히 복용하고 계신 고혈압 약에 대한 이야기를 나눠볼까 합니다. 고혈압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 만성 질환이므로, 약물 치료가 필수적인데요.
하지만 모든 약물이 그렇듯, 고혈압 약도 부작용이 있을 수 있으며, 특히 당뇨병이나 신장(콩팥) 질환을 함께 앓고 계신 분들은 더욱 주의가 필요합니다.
오늘은 고혈압 약의 다양한 부작용부터, 당뇨와 신장(콩팥) 건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꼼꼼하게 알려드릴게요! 올바른 정보로 건강한 혈압 관리에 도움을 받으시길 바랍니다.

1. 고혈압 약, 왜 복용해야 할까요?
주요 효능 요약
- 높은 혈압을 정상 범위로 조절
- 심혈관 질환 합병증 예방 (심근경색, 뇌졸중)
- 신장 손상 및 눈 질환 위험 감소
고혈압 약은 혈압을 정상 범위로 효과적으로 조절하여, 혈관 손상을 막고 심근경색, 뇌졸중, 신장 질환, 눈 질환 등 다양한 합병증의 발생 위험을 낮추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의사의 처방에 따라 꾸준히 복용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죠.
2. 고혈압 약, 어떤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나요?
주요 부작용 요약
- 어지럼증, 현기증
- 두통
- 피로감
- 다리 부종
- 기침
- 성 기능 저하 (일부 약물)
고혈압 약은 종류에 따라 다양한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흔하게는 어지럼증, 두통, 피로감, 다리 부종, 마른 기침 등이 보고되며, 일부 약물에서는 성 기능 저하를 유발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부작용은 대부분 경미하고 일시적이지만, 지속되거나 심할 경우 반드시 의사나 약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3. 고혈압 약, 당뇨와 신장(콩팥)에 미치는 영향
고혈압 약은 당뇨병 환자나 신장(콩팥) 질환을 가진 환자에게 특히 신중하게 선택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약물 종류에 따라 당뇨나 신장(콩팥) 기능에 다른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죠.
이뇨제
- 당뇨에 미치는 영향: 일부 이뇨제는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으므로 당뇨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합니다. 혈당 수치를 꾸준히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 신장(콩팥)에 미치는 영향: 이뇨 작용으로 수분과 나트륨 배출을 돕지만, 과도하게 사용하면 신장(콩팥) 기능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신장(콩팥) 기능이 저하된 환자는 용량 조절이 필수입니다.
베타 차단제
- 당뇨에 미치는 영향: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여 혈당 조절을 어렵게 하거나, 저혈당 증상을 가릴 수 있습니다. 당뇨 환자는 신중하게 사용해야 합니다.
- 신장(콩팥)에 미치는 영향: 신장(콩팥) 기능에 직접적인 큰 영향은 적지만, 혈압 강하 효과로 인해 신장(콩팥)으로 가는 혈류에 미미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ACE 억제제 및 ARB (안지오텐신 수용체 차단제)
- 당뇨에 미치는 영향: 당뇨병 환자의 신장(콩팥) 보호 효과가 있어, 당뇨병성 신장(콩팥) 질환 환자에게 우선적으로 고려되는 약물입니다. 혈당 조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신장(콩팥)에 미치는 영향: 신장(콩팥)을 보호하는 효과가 뛰어나 신장(콩팥) 질환 환자에게 자주 처방됩니다. 하지만, 신장(콩팥) 기능이 매우 저하된 경우에는 칼륨 수치를 높일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칼슘 채널 차단제
- 당뇨에 미치는 영향: 당뇨 환자에게 비교적 안전하게 사용될 수 있으며, 혈당에 미치는 영향은 적습니다.
- 신장(콩팥)에 미치는 영향: 신장(콩팥) 혈관을 확장시켜 신장(콩팥)으로 가는 혈류를 개선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요약 테이블(당뇨와 관계)
약물 계열 | 혈당/인슐린 영향 | 당뇨 발생 위험 |
---|---|---|
β-blockers | 인슐린 저항성 증가, 인슐린 분비 ↓ | ↑ (28–50%) |
Thiazide 이뇨제 | 혈당 상승, 인슐린 저항성 증가 | ↑ (~20–28%) |
ACE 억제제 / ARB | 인슐린 감수성 개선, 혈당 ↓ | ↓ (예방 효과 있음) |
CCB (예: amlodipine, azelnidipine) | 중립 ~ 혈당 개선 가능 | 중립 |
α-blocker (doxazosin 등) | 인슐린 감수성 개선, OGTT 강화 | 중립~↓ 가능 |
Vasodilating β-blockers | 적은 인슐린 저항성 영향 | 중립적 |
실제 임상 적용 팁
- 당뇨 위험이 있거나 이미 당뇨가 있는 고혈압 환자라면 ACE 억제제나 ARB가 1차로 선호됩니다.
- β-blocker나 티아지드 이뇨제 사용 시 혈당 모니터링이 필요하며, 특히 두 계열 병용 시 당뇨 위험이 더 크게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 CCB 계열은 중립적이며, 당 대사 개선 가능성이 있어 대체 옵션으로 고려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약물 선택은 개인의 당뇨 위험, 체중, 대사 상태, 병용약 등에 따라 맞춤형으로 결정해야 합니다.]
고혈압 약이 신장에 영향을 미친 사례
고혈압 약물 중 일부는 혈당 수치에 영향을 미치거나 당뇨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가질 수 있습니다. 이러한 사례들은 주로 특정 약물 계열에서 보고되고 있으며, 특히 기존에 당뇨병 전단계이거나 당뇨병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들에게 더욱 중요하게 고려됩니다.
혈당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고혈압 약물 및 관련 부작용
- 티아지드계 이뇨제 (Thiazide diuretics):
- 이뇨제는 혈압을 낮추는 데 효과적이지만,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이는 인슐린 저항성을 증가시키거나 췌장의 인슐린 분비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실제 사례: 장기간 고용량의 티아지드계 이뇨제를 복용하는 환자들에서 혈당 상승 또는 새로운 당뇨병 발병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있습니다. 특히 당뇨병 가족력이 있거나 비만인 경우 이러한 위험이 더 커질 수 있습니다.
- 베타차단제 (Beta-blockers):
- 일부 베타차단제는 혈당 수치를 높일 수 있습니다. 특히 비선택적 베타차단제는 인슐린 분비를 억제하고 인슐린 민감도를 감소시킬 수 있습니다. 또한 저혈당 증상을 가릴 수 있어 당뇨병 환자에게는 주의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실제 사례: 베타차단제 복용 후 혈당 상승이 보고된 사례들이 있으며, 특히 고령 환자나 혈당 상승 위험이 있는 환자에게서는 신중한 약물 선택이 필요합니다. 다만, 최근에는 심장 선택성이 높은 베타차단제들은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비교적 적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 칼슘 채널 차단제 (Calcium Channel Blockers, CCB):
- 일부 칼슘 채널 차단제, 특히 디하이드로피리딘 계열의 CCB(예: 니페디핀)는 혈당 상승 이상사례가 보고된 바 있습니다.
- 실제 사례: 헬스케어N 등의 언론에서는 고혈압 치료제 성분인 ‘니페디핀’ 복용 후 혈당 상승 이상사례가 보고되어 주의가 필요하다는 내용을 보도한 바 있습니다. 이는 모든 CCB에 해당하는 것은 아니며, 개별 약물의 특성 및 환자의 반응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덜 흔하거나 영향이 적은 경우
- ACE 억제제 (ACE inhibitors) 및 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 오히려 이 약물들은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신장 보호에 도움이 되고, 일부 연구에서는 새로운 당뇨병 발생 위험을 줄일 수 있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따라서 혈당 조절 측면에서는 비교적 안전하거나 유익할 수 있다고 평가됩니다.
중요한 고려사항
- 개인의 기저 질환 및 위험 인자: 이미 당뇨병 전단계이거나 가족력이 있는 경우, 비만, 대사 증후군 등 당뇨병 위험 인자를 가진 환자는 특정 고혈압 약물에 대한 반응이 다를 수 있으므로 더욱 신중한 약물 선택과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 약물 병용: 여러 약물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해 혈당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장기 복용: 혈압약은 장기간 복용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잠재적인 혈당 변화에 대한 인식이 중요합니다.
- 정기적인 혈당 검사: 고혈압 약물 복용 중 혈당 상승이 의심되거나 당뇨병 위험이 있는 경우, 정기적인 혈당 검사를 통해 변화를 확인하고 의료진과 상담해야 합니다.
결론적으로, 고혈압 약물 중 이뇨제와 베타차단제 일부, 그리고 특정 칼슘 채널 차단제 등은 혈당 수치를 높이거나 당뇨병 발병 위험을 증가시킬 수 있는 부작용 사례가 보고되었습니다.
따라서 고혈압 치료 시에는 환자의 전반적인 건강 상태, 기존 질환, 당뇨병 위험 인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최적의 약물을 선택하고, 약물 복용 중 발생할 수 있는 이상 반응에 대해 의료진과 충분히 상담하고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임의로 약물 복용을 중단해서는 안 됩니다.
요약 정리(신장 관련)
약물 계열 | 신장 기능 영향 | 클리니컬 팁 |
---|---|---|
ACEI / ARB | 초기 GFR 저하 후 → 장기적 GFR, 단백뇨 ↓ → 신장보호 | 초기 크레아티닌·칼륨 모니터링 필수 |
CCB | GFR 유지, 알부민뇨 ↓ 가능 → 신장 보호 | 안전하나 경우에 따라 병용 고려 |
β‑blockers | eGFR 감소 소폭 연관 가능 | CKD 환자서 신중 투여 |
Thiazide/Loop 이뇨제 | 단백뇨 ↓, BP↓. 단, 탈수‧NSAID 병용 시 AKI 위험 | 전해질·탈수 상태 확인 필수 |
Aliskiren, Spironolactone | 고칼륨혈증 및 신기능 악화 위험 | CKD서 병용 삼가고 모니터링 필요 |
NSAID 병용 주의 | 급성·만성 신부전 위험 증가 | 병용 시 신장 모니터링 및 재검토 |
결론 및 임상 제언
- CKD나 단백뇨 환자라면 ACE 억제제나 ARB가 신장 보호 목적 1차 선택입니다.
- CCB도 단독 또는 병용 시 신장 보전적 효과가 있으나, 주치의 판단에 따라 사용 가능합니다.
- β-blocker나 이뇨제는 특정 상황에 적합할 수 있지만, 급성 신부전, 전해질 이상, 탈수 등 위험 요인을 함께 고려해 신중 투여해야 합니다.
- 복용 초기 특히 2–4주간은 반드시 혈청 크레아티닌, eGFR, 칼륨, 전해질을 정기적으로 체크하십시오.
- NSAID와의 병용은 AKI 위험이 매우 높으므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회피하거나 엄격하게 모니터링해야 합니다.
고혈압 약이 신장에 영향을 미친 사례
고혈압 약 복용으로 인해 신장에 심각한 문제가 발생한 실제 사례들은 다양한 맥락에서 보고되고 있습니다. 특히 특정 계열의 고혈압 약물들이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며, 일부 환자들에게는 부작용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주요 약물 계열 및 관련 부작용
- ACE 억제제 (Angiotensin-Converting Enzyme Inhibitors) 및 ARB (Angiotensin Receptor Blockers):
- 이 약물들은 고혈압 치료에 효과적이며, 특히 당뇨병성 신증 환자의 신장 보호에도 도움이 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하지만 신혈류량을 감소시키고 사구체 여과율(GFR)을 저하시킴으로써 고칼륨혈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특히 양측 신동맥 협착증 환자의 경우 급성 신부전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신장 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경우 칼륨 배설이 원활하지 않아 고칼륨혈증 발생 위험이 더욱 커집니다.
- 일부 연구에서는 장기간 사용 시 신장 조직의 섬유화를 유발하거나, 레닌 생성 세포에 과도한 자극을 주어 신장 기능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습니다. (다만, 이는 동물 연구 결과이며 사람에게 동일하게 적용되는지는 추가 연구가 필요합니다.)
- 실제 사례: 대한약사회 지역의약품안전센터에 보고된 이상사례 중에는 ARB와 ACEI를 병용 투여한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게서 고칼륨혈증 및 신장 손상이 증가하는 사례가 있었습니다.
- 이뇨제 (Diuretics):
- 이뇨제는 체내 수분량을 줄여 혈압을 낮추는 데 사용됩니다.
- 특히 고령 환자나 체액이 부족한 경우 급성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는 이뇨제가 혈액량을 감소시켜 신장의 여과 과정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 일반적으로 권장 용량에서는 문제가 적지만, 고용량에서는 신장 손상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 (NSAIDs):
- 고혈압 약은 아니지만, 많은 고혈압 환자들이 통증 완화를 위해 NSAID를 함께 복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NSAID는 신장으로 가는 혈류량을 감소시켜 혈압을 높이고 신장 손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고용량 또는 장기간 사용 시 위험이 높습니다.
- 탈수 상태에서 NSAID를 복용하면 급성 신장 손상이 발생할 가능성이 더욱 커집니다.
- 실제 사례: NSAID 복용으로 인한 콩팥 기능 저하는 뚜렷한 증상 없이 진행되는 경우가 많아 환자 본인이 모르는 사이에 신장 기능이 급격히 나빠질 수 있으며, 혈압약(ARB, ACE 억제제), 이뇨제, 면역억제제 등과 함께 사용 시 급성 신부전 발생 위험이 30일 이내에 증가한다는 보고도 있습니다.
중요 사항
- 개인의 기저 질환: 신장 질환, 당뇨병, 심부전 등 다른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는 환자들은 고혈압 약물 복용 시 신장 관련 부작용 발생 위험이 더 높을 수 있습니다.
- 약물 병용: 여러 약물을 동시에 복용할 경우 약물 상호작용으로 인해 신장 부작용 위험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특히 ACE 억제제와 ARB의 병용은 당뇨병성 신증 환자에게 금기입니다.
- 탈수: 탈수 상태에서는 신장이 약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기 어려워지므로, 특정 혈압약을 복용하는 경우 더욱 주의해야 합니다.
- 증상 인지: 소변량 변화, 소변 색 변화, 옆구리 통증, 다리나 발의 부종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와 상담해야 합니다.
고혈압 약은 생명을 위협할 수 있는 고혈압을 관리하는 데 필수적인 약물이지만, 위에서 언급된 것처럼 신장 기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부작용도 존재합니다. 따라서 고혈압 약을 복용 중이거나 복용할 예정이라면 반드시 의사 또는 약사와 충분히 상담하여 본인의 건강 상태에 맞는 약물을 선택하고, 주기적인 검진을 통해 신장 기능을 확인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4. 고혈압 약 복용 시 필수 체크사항
- 정기적인 의사 진료: 고혈압 약은 반드시 의사의 처방에 따라 복용해야 하며, 정기적인 진료를 통해 혈압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합니다.
- 부작용 발생 시 즉시 알리기: 약 복용 후 어지럼증, 피로감 등 부작용이 나타난다면 즉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 임의로 약 중단 금지: 부작용이 있더라도 임의로 약 복용을 중단하면 혈압이 급격히 상승하여 위험할 수 있습니다.
- 다른 약물과의 상호작용 주의: 복용 중인 다른 약물이나 건강기능식품이 있다면 반드시 의료진에게 알려야 합니다.
5. 마무리
고혈압 약은 혈압을 조절하고 합병증을 예방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특히 당뇨나 신장(콩팥) 질환을 함께 앓고 계신 분들은 약물 선택과 관리에 더욱 신중해야 합니다.
오늘 알려드린 정보를 바탕으로 자신의 건강 상태에 맞는 올바른 고혈압 약을 복용하고, 정기적인 관리를 통해 건강한 삶을 유지하시길 바랍니다.
#고혈압약 #고혈압 #부작용 #당뇨 #신장 #콩팥 #약물관리 #건강관리 #심혈관질환